중구역사문화자원Database Contents

스토리텔링

  • home >
  • 스토리텔링
  • 수정

 

정보 상세
관리정보 JGS_000109 / 관수교
* 명칭 관수교 이명칭
개요 준천사에서 청계천을 살펴본다는 뜻의 관수교

본문 정보
제목#1 준천사(濬川司) 옆 관수교
내용#1 관수교는 1918년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만든 다리로, 창덕궁과 1926년까지 남산에 있던 조선총독부를 연결하는 다리로 유명했습니다. 주변에는 조선 시대 청계천을 관리하던 준천사라는 관청이 있었는데, ‘준천사에서 청계천을 살펴본다.’는 뜻으로 다리이름을 관수교라고 했습니다. 청계천 복개 공사 때 없어진 관수교를 2005년 청계천을 복원하면서 새로 만들었습니다.
제목#2 영조의 준천공사
내용#2 17세기 세계적으로 소빙하기에 접어들면서 조선도 겨울 뿐만 아니라 여름에도 서리가 자주 내릴 정도로 추워졌습니다. 이 때문에 한성 주변의 산은 땔감을 찾는 백성들의 불법 벌채로 몸살을 앓았습니다. 추위로 인하여 벌채가 얼마나 심했던지 숙종실록에는 “무뢰배들과 사대부 집안 종들이 함부로 벌채를 하는데, 산지기가 붙잡으려 하면 도끼를 휘둘러 위협하므로 말리지 못한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심한 벌채로 산은 날로 벌거숭이가 되어갔고, 비가 오면 한성주변의 산에서 토사가 지류를 따라 청계천에 흘러들었습니다. 청계천은 토사가 쌓이면서 물길이 막혔고, 오물이 쌓이고 해충이 들끓었습니다. 또한 조금만 비가 내려도 범람하여 한성 일대가 물에 잠겼습니다. 영조 때에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는데, 암행어사로 유명한 박문수는 “수해로 인한 우환이 심해져 이제는 작은 비가 내려도 인가가 떠내려가고 또 물길이 막히고 고어서 병을 만드니 급히 터야 한다"고 하천바닥을 파내는 준천(濬川)이 시급함을 강조하였습니다. 오랜 고심 끝에 영조는 1760년 2월, 20만 명을 동원해서 57일간 청계천의 모래를 파내는 대규모 준천사업을 실시했습니다. 파낸 모래는 동대문 옆 청계천가에 쌓았는데, 야트막한 산 2개가 생길 정도로 엄청난 양이었다고 합니다.
제목#3 준천사
내용#3 4월에 준천공사가 끝나고 영조는 오늘날 관수교 자리에 준천사라는 관청을 설치했습니다. 준천사는 한성 내에 산과 강을 관리하는 관청으로 청계천의 준설과 한성 주변 산에 있는 나무를 보호하는 일을 했습니다. 준천사에서는 1882년까지 2~3년에 한 번씩 준천을 하고, 10년에 한 번은 대규모 준천을 했습니다.

상세 정보
시대분류
주제분류
연계비콘
지번주소
도로명주소 서울특별시 중구/종로구
지역
전화번호
지정현황
휴무일
이용시간
이용요금
주차
장애인 편의시설
체험안내
안내서비스
예약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