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상세 | |||
---|---|---|---|
관리정보 | JGH_000099 / 쌍회정 터 | ||
* 명칭 | 쌍회정 터 | 이명칭 | 이항복 집터 |
개요 | 쌍회정(雙檜亭) 터는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인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의 사저가 있던 곳으로, 쌍회정(雙檜亭)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 쌍회정은 이항복의 집 앞에 지어진 정자로, 이항복이 심은 두 그루의 회나무에서 그 이름이 유래한다. 이항복이 죽고 집의 새 주인이 회나무 옆에 정자를 지어 쌍회정이라고 했다. 이후 홍엽정(紅葉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조선 말기에 이항복의 후손인 이유원(李裕元)이 이를 사들이면서 이름을 쌍회정으로 다시 고쳤다. | ||
설명 | 쌍회정(雙檜亭) 터는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인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의 집이 있던 곳으로, 쌍회정(雙檜亭)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 쌍회정은 이항복의 집 앞에 지어진 정자로, 이항복이 심은 두 그루의 회나무에서 그 이름이 유래한다. 쌍회정이 있던 구 회현동 일대는 남산자락에 위치하여 경치가 수려하였으므로 조선시대 때 많은 양반들의 사저가 있던 곳이다. 오성과 한음으로 알려져 있는 이항복과 이덕형(李德馨)이 거주하였고, 조선 명종(明宗) 때 영의정을 지낸 상진(尙震)의 집도 있었으며, 권문세가인 동래(東萊) 정씨의 집거지이기도 하였다. 이항복의 후손인 이유원(李裕元)은 문집 《임하필기(林下筆記)》에서 쌍회정의 유래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이항복 집터에는 몇 대를 거쳐 후손이 거주하다가 주인이 바뀌게 되었는데, 새 주인은 이항복이 심은 회나무 아래에 별채를 짓고 이를 쌍회정이라 하였다. 그 후 새로 주인이 된 서염순(徐念淳)이 정자를 늘려 짓고, 주위에 단풍나무를 심어 정자 이름을 홍엽정(紅葉亭)이라 하였다. 나중에 이유원이 이를 다시 사들였는데, 이때 회나무 한 그루가 이미 죽고 없었으므로 새로 한 그루를 심었다 한다. 이와 함께 이유원이 정자의 이름을 쌍회정으로 다시 고쳤다 한다. 이유원 사후 이곳은 일본인의 소유가 되었는데, 언제 정자가 없어졌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쌍회정 터는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6길 36에 해당한다. | ||
역사정보 | 1600년대 이항복 사후 그의 집터 부근에 정자를 지음 1800년대 이항복의 후손인 이유원이 정자 이름을 쌍회정이라 함 | ||
시대분류 | 조선/1600년대 | ||
주제분류 | 문화/유적지, 사적지/사지, 전지, 유지, 원지 | ||
지번주소 | |||
도로명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6길 36(남창동 202) | ||
지역 |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 | ||
시작일(발생일) | 1600년대 | ||
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