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역사문화자원Database Contents

역사문화자원

  • home >
  • 역사문화자원
  • 수정

 

정보 상세
관리정보 JGH_000909 / [행정동]광희동
* 명칭 [행정동]광희동 이명칭
개요 광희동(光熙洞)은 충무로4·5가, 광희동1·2가, 인현동2가, 예관동, 오장동, 쌍림동, 을지로6·7가 행정을 담당하는 관할지역 명칭이다. 2013년 기준 광희동의 면적은 0.74㎢이며, 인구는 2,937세대에 6,107명이 거주하고 있다.
설명 광희동(光熙洞)은 충무로4·5가, 인현동(仁峴洞)2가, 예관동(藝館洞), 오장동(五壯洞), 광희동1·2가, 쌍림동(雙林洞), 을지로6가, 을지로7가 행정을 담당하는 관할지역 명칭이다. 광희동의 동명은 도성팔문(都城八門, 서울성곽 8문) 가운데 하나인 광희문(光熙門)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인현동의 동명은 조선 선조(宣祖, 재위 1567~1608)의 아들 인성군(仁城君)의 집이 동네에 있었는데 인성붓재, 한자명으로 인성부현·인성현이라 하였고, 이를 줄여서 인현이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예관동의 동명은 조선시대 이 마을에 책을 찍어내던 교서관(校書館, 일명 운관(芸館)이 있어 교서관동·운동이라 하였는데, 후에 운(芸)을 예(藝)의 약자로 잘못 읽은 것이 그대로 전해진 것이다. 또 오장동의 동명은 이곳에 다섯 장사가 살았다고 해서 ‘오장삿골’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명으로 오장(五壯)이라 표기한 데서 유래되었다. 광희동은 조선 초기 한성부(漢城府) 5부(部) 52방(坊) 중 남부(南部) 명철방(明哲坊) 지역에 속했다. 일제강점기 때는 일본식 정회(町會)를 설치하면서 광희정(光熙町) 1정목(丁目)정회와 광희정 2정목정회가 되었다. 1947년 6월 서울시령 제2호로 동회제도를 시행할 때 광희동의 행정은 광희동1가동회와 광희동2가동회가 설치되어 그 관할구역을 담당하였다.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에 의해 행정동제가 시행될 때 광희1가동사무소와 광희2가동사무소로 명칭이 변경되어 행정을 담당하였다. 1970년 5월 5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13호로 광희1가동·광희2가동·쌍림동을 통합하여 광희동사무소에서 행정을 담당하게 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981호로 을지로5가동이 폐지되면서, 그 관할구역의 일부인 을지로6·7가가 광희동에 편입되었다. 1992년 1월 3일 서울특별시 중구조례 제170호로 오장동 일부 지역이 광희동에 편입되었다. 1998년 9월 14일 정부조직 개편으로 구 충무로4·5가동과 통폐합되어 충무로4·5가 일부, 인현동2가, 예관동, 오장동 일부가 편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13년 기준 광희동의 면적은 0.74㎢로 중구 전체면적의 7.4%를 차지하며, 등록사업체 수는 1만 372개이다. 인구는 2,937세대에 6,10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통반 조직은 16개 통(統) 101개 반(班)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희동주민센터는 중구 퇴계로 303-9(광희동1가 252)에 위치하고 있다.
역사정보 1914 일제에 의하여 동명을 광희정으로 개칭 1946 광희동1가동회, 광희동2가동회 설치 1955 광희1가동사무소와 광희2가동사무소로 명칭이 변경 1970 광희1·2가동·쌍림동을 통합하여 광희동사무소에서 행정을 담당 1975 을지로5가동이 폐지되면서 그 관할구역의 일부인 을지로6·7가가 광희동에 편입 1992 오장동 일부 지역이 광희동에 편입 1998 충무로4·5가동과 통폐합되어 충무로4·5가 일부, 인현동2가, 예관동, 오장동 일부가 편입
시대분류 현대/1946(동명제정)
주제분류 문화/생활양식/기타
지번주소
도로명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303-9(광희동1가 252) 일대
지역 서울특별시 중구 광희동1가
시작일(발생일) 1946년(동명제정)
인물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