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역사문화자원Database Contents

역사문화자원

  • home >
  • 역사문화자원
  • 수정

 

정보 상세
관리정보 JGH_000049 / 장충동2가 189-22주택
* 명칭 장충동2가 189-22주택 이명칭 장충동2가 문화주택
개요 장충동2가 189-22주택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문화주택으로 면적은 126.6㎡이며, 장충파출소 맞은편 우리은행과 하늘정원 사이 골목의 주택상가 혼용지대에 위치한다. 이 주택이 위치한 자리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공동묘지가 있었던 곳인데, 1936년 서울의 인구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따라 묘지와 화장장을 철거하고 문화주택단지를 조성하였다.
설명 장충동2가 189-22주택은 일제강점기였던 1930년대 후반에 지어진 문화주택으로 면적은 126.6㎡이며, 장충파출소 맞은편의 우리은행과 하늘정원 사이 골목의 주택상가 혼용지대에 위치한다. 이곳은 원래 일본인 공동묘지가 있던 자리였으나, 1930년대 도시구획정리 과정에서 공동묘지를 이전하고 문화주택단지를 조성하였다. 문화주택은 응접실이나 현관에 도어를 달아 일본식과 서양식을 절충한 주택으로 1920년대부터 유행하였다. 문화주택은 인구 유입으로 인한 도시과밀화를 해결하고, 전통주택의 비경제성과 비위생성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부각되었다. 일제강점기의 서울 역시 인구과밀화 문제와 함께 주택문제가 대두되었다. 특히 서울에 근대적 기관들이 들어서면서 새롭게 성장한 중상류층에 대한 주택 공급이 필요해졌다. 주로 일본인들이었던 이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제는 1921년, 1934년, 1938년 3차례에 걸쳐 문화주택 단지를 건설하고 분양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는 1936년 서울의 시역을 확장하고,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진행하여 대규모 주거지를 개발하였다. 상업화된 문화주택이 본격적으로 공급되기 시작한 것은 이때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서울에 일본인 인구의 유입과 도시과밀화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장충동의 일본인 공동묘지가 서울 외곽으로 이전되고, 그 자리에 대규모 문화주택단지가 건설되었다. 장충동2가 189-22주택은 그 과정에서 건설된 주택이다. 문화주택은 서구식 외관과 공간구조를 갖춘 위생적이고 경제적인 주택으로, 전통주택과 달리 수도와 난방 등 근대적 시설을 갖춰 생활의 편리성이 보장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 1920년대 일부 도입되기 시작한 문화주택은 1930년대 중반부터 대규모 문화주택 단지의 조성과 함께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장충동과 신당동이 대표적인 문화주택 단지였으며, 문화주택은 광복 이후에도 낙후된 취락구조 개선을 위한 모델로 제시되었다. 장충동2가 189-22주택은 서울의 문화주택 초창기 모습을 간직한 주택으로, 인근에는 1930년대에 건립된 문화주택 4동과, 1960년대에 지어진 문화주택 2동이 지금까지도 남아 있는데, 모두 보존상태가 양호해 서울의 주거문화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역사정보 1930년대 후반 건설
시대분류 일제강점기/1930년대
주제분류 문화/축조물/기타
지번주소
도로명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264-9(장충동2가 189-22)
지역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시작일(발생일) 1930년대
인물

 list